728x90
반응형

2016/11 5

[영국문학개관] 20세기 영국문학 (The Twentieth Century)

20세기 영국문학 [목차] 1. 시대적 배경 2. 모더니즘 3. 작가 소개 20세기 영국문학 대표 작가 D. H. Lawrence 사진 1. 시대적 배경 - 20세기는 사회적, 도덕적 기풍에 있어서 이전의 빅토리아 여왕시대의 분위기와 뚜렷한 대조를 보여준다. 20세기 벽두에 빅토리아 여왕시대의 진지한 도덕적 행동규범이나, 신사의 전통, 교양적인 취향등의 모든 생활양식에 도전하고 거부하는 기운이 일었으며, 미래에 대한 어두운 회의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었다. 따라서 20세기는 불안, 근심, 초조의 시대로 불린다. 하지만 이러한 변전의 시대를 단일한 명칭하에 고정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20세기의 초반은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영역을 불문하고 거의 모든 분야에서 19세기와는 다른 삶의..

"Musee Des Beaux Arts (Museum of Fine Arts)" by W. H. Auden [영국시/번역/해석]

Musee Des Beaux Arts[각주:1] (Museum of Fine Arts) W. H. Auden About suffering they were never wrong. The old Masters[각주:2]: how well they understood Its human position: how it takes place While someone else is eating or opening a window or just walking dully along; How, when the aged are reverently, passionately waiting For the miraculous birth[각주:3], there always must be Children who did not spe..

[영국문학개관] 낭만주의 시대 (The Romantic Period, 1789 - 1832)

[영국문학개관] 낭만주의 시대 (The Romantic Period) (1789 - 1832) I. 낭만적 이데올로기 당시 영국과 유럽의 사회, 역사적 상황 (정치적 혁명, 경제 체제와 시장 구조의 변화, 새로운 계급의 등장, 이들의 존재가 가한 위협 등) 을 상상력의 힘으로 해결 또는 초월할 수 있다는 일련의 믿음 체계 II. 낭만주의 시대, 혁명의 시대 --- by 홉스봄(Hobsbawm) 1) 프랑스 혁명: 1789년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의 붕괴와 더불어 시작된 이 혁명은 인간으로서의 기본권을 보통 사람들에게까지 확대 계기가 된 사건이다. "만인은 법 앞에 평등하다." + 대외적으로 미국독립혁명 (독립선언 (1776), 영국군 항복 (1781), 파리조약 (1783)) 도 예를 들 수 있다. ..

CNN, '박근혜가 사임하지 않는 5가지 이유' 번역

5 REASONS WHY SOUTH KOREA'S PRESIDENT IS UNLIKELY TO QUIT박근혜가 사임하지 않는 5가지 이유 안녕하세요? 영어 강사 황경진입니다. 바빠서 뉴스를 자주 못 봤는데, 4일 전 쯤 CNN에서 '박근혜가 사임하지 않는 5가지 이유(5 reasons why South Korea's president is unlikely to quit)'이란 제목의 기사가 올라 온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동네북이 되버린 것을 입증한 꼴인데요. 외신이 바라본 대한민국의 현 대통령은 어떨지 기사 번역을 통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ressure is building on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to stand d..

박근혜, 최순실, 독재 South Korea’s Clintonian Scandal(한국의 클린턴스러운 스캔들) 번역

박근혜, 최순실, 독재 South Korea’s Clintonian Scandal(한국의 클린턴스러운 스캔들) 번역 안녕하세요? 영어강사 황경진입니다. 최근 박근혜와 최순실을 통한 한국의 수치스러운 정치 상황을 이제는 세계에서 주목을 하고 있습니다. 역시나 세계의 많은 언론사들은 대한민국의 상황에 대해 비판적이며 조롱적입니다. 오늘은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신문 중 하나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 이하 WSJ)'에 실린 사설을 번역하여 소개할까 합니다. 현재 한국 신문사에서도 이 사설에 대해 간단히 다루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내용이 어떻게 영어로 쓰였을지 같이 확인 해 보겠습니다. [원문출처] http://www.wsj.com/articles/south-ko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