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228

2025학년도 고3 6월 모의고사 영어 29번 어법 해설/분석

안녕하세요 송파 명문 이은재어학원 수능/내신 영어 강사 황경진T입니다. 2024년 6월 4일 (화)에 시행된 2025학년도 고3 수능 모의고사 영어 해설입니다. 1. What makes practicing retrieval so much better than review? 불러오기(회상) 연습이 검토보다 훨씬 더 나은 이유는 무엇일까? 2. One answer comes from the psychologist R. A. Bjork’s concept of desirable difficulty. 심리학자 R. A. Bjork의 '바람직한 어려움' 개념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3. More difficult retrieval ① leads to better learning, provided the act..

2025학년도 고3 6월 모의고사 영어 21번 해설/분석

안녕하세요 송파 명문 이은재어학원 수능/내신 영어 강사 황경진T입니다. 2024년 6월 4일 (화)에 시행된 수능 모의평가 영어 보느라 고생하셨습니다. 1. To balance the need for breadth (everyone feels a bit burned out) and depth (some are so burned out, they can no longer do their jobs), we ought to think of burnout not as a state but as a spectrum. 번아웃의 넓이(모든 사람들이 약간씩은 탈진된 느낌)과 깊이(일부는 너무 많이 타서 더 이상 자신의 일을 할 수 없게 됨)의 필요성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우리는 번아웃을 하나의 상태가 아니라 스..

2020학년도 수능 영어 37번 해설/분석/정답 (오답률 8위, 57.8%)

안녕하세요송파 명문 이은재어학원의 내신/수능 영어 전문강사 황경진입니다. 😀2019년 11월 14일 목요일에 시행되었던 2020학년도 수능 영어 37번 해설입니다.많은 도움 되길 바랍니다.    제시문Traditionally, Kuhn claims, the primary goal of historians of science was ‘to clarify and deepen an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scientific methods or concepts by displaying their evolution’.Khum이 주장하길, 전통적으로 과학 역사학자들의 주요한 목표는 현대 과학적 방법들이나 개념들의 발전을 전시함으로서 그것들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하고 심화시키는 것이다...

2024년 영파여고 2학년 1학기 중간고사 분석/총평

안녕하세요송파/강동 고등부 영어 명문 이은재어학원의영파여고 전문가 황경진T입니다. 2024년 4월 25일(목)에 실시된 영파여자고등학교 2학년 1학기 중간고사 시험지 분석 및 총평 관련 포스팅입니다.  📍시험 범위능률(김) 교과서 1과EBS 올림포스 학력평가기출문제집 2024년 1, 2번 (3~7과, 11과~18과) 26지문듣기 📍문제 유형선택형 1~20번 (20문항)서답형 1~6번 (6문항)총 26문항 (하위 문제 미포함)  📍시험 난이도: 중하2학년 첫 시험이었던만큼 어렵지 않은 난이도로 출제하였습니다.원문 및 어휘 변형이 심하지도 않았기에 공부한 만큼 나올 수 있었던 시험이었습니다.그렇다고 변별력이 크게 없지도 않았습니다. 변별력을 위해서 출제된 고난도 어휘와 적절한 동사의 쓰임을 이용한 서술..

2020학년도 수능 영어 38번 해설/분석 (오답률 낮음)

제시문 Thus, individuals of many resident species, [confronted with the fitness benefits of control over a productive breeding site], may be forced to balance costs / in the form of lower nonbreeding survivorship / by remaining in the specific habitat where highest breeding success occurs.  그래서 많은 토종 개체들은, [생산적인 번식 장소에 대한 통제권의 적합한 이익에 직면하게 되면], 반드시 대가에 대한 균형을 맞춰야할 것이다 / 더 낮은 비번식기 생존률의 형태로 / 높은 번식 성..

2024년 영파여자고등학교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분석/총평

안녕하세요.송파 명문 이은재어학원영파여자고등학교 수능/내신 전문가 황경진 강사입니다.2024년 영파여고 1학기 중간고사 시험기간이 시작되었습니다.다들 경진샘 믿고 따라와주고 시험 보느라 고생많으셨습니다.지금 시험기간이니 다른 과목도 잘 마무리하길 응원합니다.  📍시험 범위수능특강 듣기 16, 17강수능특강 라이트 내 23지문 (3~6강, 9~16강, 1-2번)능률(김) 교과서 1과  📍시험 유형선택형 1~20번서답형: 1~5번총 25문항 (하위 문항 제외)    📍시험 난이도: 중첫 시험이었던만큼 고난도로 출제하지는 않았습니다.단, 원문 변형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하여 중학교 때 단순 암기 및 벼락치기에 익숙한 학생들에게는 쥐약이었던 시험이었을 것입니다.중학교 때 나쁜 습관으로 공부하던 학생들에게 ..

2019년 고3 영어 모의고사 38번 해설/분석 (오답률 12위, 53.8%)

1. There is obviously a wide gap between the promises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948 and the real world of human-rights violations. 1948년 세계인권선언의 약속과 인권 침해의 현실 사이에는 분명한 격차가 있다. 2. In so far as we sympathize with the victims, we may criticize the UN and its member governments for failing to keep their promises. 피해자들에 동정을 표하는 한, 우리는 유엔과 그 회원 정부들이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해 비판할 수 있다. (=..

2019년 고3 영어 모의고사 33번 해설/분석 (오답률 8위, 58.2%)

1. If one looks at the Oxford definition, one gets the sense that post-truth is not so much a claim that truth does not exist as that facts are subordinate to our political point of view. 옥스퍼드 (사전)의 정의를 살펴보면, 탈 진실(post-truth)은 진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보다는 사실이 우리의 정치적 견해에 종속된다는 것이라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 📌 not so much A as B = not A so much as B A라기 보다는 B 📍탈 진실(post-truth)이라는 용어의 정의를 나타내는 문장, "사실은 우리의 정치적 견해에 종속되어..

2024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 학평 36번 해설/분석

안녕하세요? 이은재어학원 수능/내신 전문강사 황경진입니다. 2024년 3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 36번 문제 해설입니다. 과학 지문에 문장 길이가 다소 길어서 이해하기 난해했던 지문입니다. 하지만 과학 지문은 여러차례 반복되서 출제되므로 기출을 토대로 익숙하게 만드는 훈련이 필요하니 포기하지말고 꼭 본인 것으로 만들어보시길 바랍니다. 도와드릴게요 :) Development of the human body from a single cell provides / many examples of the structural richness / that is possible / when the repeated production of random variation is combined with nonrando..

2024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 학평 32번 해설/분석

2024년 3월 고2 영어 전국연합학력평가 32번 지문, 분석, 해설입니다. 도입부 (소재 제시 + 주제문) #소재 제시 1. We must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ilm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bits. 우리는 아이들의 영화 제작과 소비 습관 사이의 관계를 반드시 탐험해봐야 한다. 📍첫 문장만 보면 소재가 "아이들 영화"라는 것은 명확하지만 소비 습관이 무엇인지는 더 읽어봐야 알 수 있음 #주제문 2. The term “children’s film” implies ownership by children — their cinema — but films supposedly made for children have alw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