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2020학년도 수능 영어 37번 해설/분석/정답 (오답률 8위, 57.8%)

황경진T 2024. 5. 31. 15:4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송파 명문 이은재어학원의 내신/수능 영어 전문강사 황경진입니다. 😀2019년 11월 14일 목요일에 시행되었던 2020학년도 수능 영어 37번 해설입니다.많은 도움 되길 바랍니다.

 

 

 

 

제시문

Traditionally, Kuhn claims, the primary goal of historians of science was ‘to clarify and deepen an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scientific methods or concepts by displaying their evolution’.

Khum이 주장하길, 전통적으로 과학 역사학자들의 주요한 목표는 현대 과학적 방법들이나 개념들의 발전을 전시함으로서 그것들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하고 심화시키는 것이다.

 

​📌 과학 역사학자들의 목적 설명
- 과학 역사학자들(hitorians of science)? 과학에 대한 역사를 다루는 사람들이겠지? 🧐
- 그들의 목적? 현대 과학적 방법이나 개념의 발전을 보여줌으로써 이해를 명확히하고 심화시키는 일!

 

 




(A) Some discoveries seem to entail numerous phases and discoverers, none of which can be identified as definitive.

일부 발견들은 많은 단계들과 발견자들을 수반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그 중 어떤 것도 확정적으로 확인될 수는 없었다.

 

📌 
- 제시문에서 무언가를 발견(some discoveries)했다는 말은 없으므로 우선 (A)는 스킵하자.
- 발견들이 정확하게 확인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내용 (#불확실)

 


Furthermore, the evaluation of past discoveries and discoverers according to present-day standards does not allow us to see how significant they may have been in their own day.

그에 더해, 지난 발견들과 발견자들을 현재의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은 우리로 하여금 그것들이 당시에는 얼마나 중요했을 것인지 이해하지 못하게 한다.

📌 현재 기준의 한계
- 현재 기준으로 과거의 발견과 발견자들을 평가하는 것은 그 당시에 그것들이 얼마나 중요했는지를 바라지 못하게 함

 

 


 

(B) This entailed relating the progressive accumulation of breakthroughs and discoveries

이는 도약들과 발견들의 점진적인 축적에 대해 말하는 것을 수반했다.

 

📌
-
(A)에서 지나쳤던 discoveries가 여기서 등장! 그렇다면 This가 무엇을 지칭하는지 생각하며 읽어보자.

 


Only that which survived in some form in the present was considered relevant.

현대에 어떤 식으로든 살아남은 것만 의미있다고 여겨졌다

 

📌 
흠.. 반대로 과거에 발견된 것 중 현재의 형태로 살아남지 못한 것은 부적절하다고 여겨졌겠군?



 In the mid-1950s, however, a number of faults in this view of history became apparent. 

그러나 1950년대 중반, 역사에 대한 이러한 관점에서, 많은 잘못들이 드러나게 되었다.

 

📌
faults(잘못들) 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기 시작한 순간부터 뒷부분에는 부정적인 뉘앙스의 내용이 등장해야하는 것을 눈치 챌 수 있어.
근데 (A)에서 이미 뭔가 부정적인 이야기를 하고 왔으니 적어도 (B)부분은 (A)보다 앞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지!


 

Closer analysis of scientific discoveries, for instance, led historians to ask whether the dates of discoveries and their discoverers can be identified precisely. 

예를 들어, 과학적 발견들의 더 면밀한 분석은 역사가들로 하여금 발견 일시와 그 발견자들이 정확히 확인될 수 있는지 질문하도록 이끌었다.

 

📌
과학적 발견을 좀 더 면밀히 분석해보면 정확한지 아닌지 물어보게 된다는 걸보니, 오히려 결과가 #불확실 해진다는 내용이군.


(C) Nor does the traditional view recognise the role that non-intellectual factors, especially institutional and socio-economic ones, play in scientific developments.

또한 그 전통적인 관점은 비지적 요소들, 특히 제도적이고 사회경제적인 요소들,이 과학의 발전에서 하는 역할들을 인식하지 못한다.

📌 
정말 중요한 핵심 키워드가 등장했어요❗️
Nor로 시작하는 문장의 앞 문장은 반드시 부정문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앞 문장 내용은 아니다. 또한 뒷 문장 내용 또한 아니다' 식으로 양자부정의 의미가 완성됩니다.

따라서, 부정문으로 마무리가 되는 (A)가 (C)앞에 놓이게 되겠군요.

여기까지 정리하면 (B)->(A)->(C)가 정답입니다.


Most importantly, however, the traditional historian of science seems blind to the fact that the concepts, questions and standards that they use to frame the past are themselves subject to historical change.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전통적인 과학 역사학자들은 그들이 과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들, 질문들과 기준들 그 자체가 역사의 변화 아래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 글의 결론부
가장 중요한 점을 시사하며 글을 마무리 합니다.
전통적인 과학 역사학자들이 과거를 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현재의 기준은 역사를 바꿀 수도 있다는 문제점을 시사하며 마무리하네요.
(A)에서 나왔던 핵심 문제점을 다시 한번 리마인드하며 마무리하고 있네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