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3학년

2025학년도 고3 6월 모의고사 영어 21번 해설/분석

황경진T 2024. 6. 4. 19:0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송파 명문 이은재어학원 수능/내신 영어 강사 황경진T입니다.
 
2024년 6월 4일 (화)에 시행된 수능 모의평가 영어 보느라 고생하셨습니다.
 
 

 

1. To balance the need for breadth (everyone feels a bit burned out) and depth (some are so burned out, they can no longer do their jobs), we ought to think of burnout not as a state but as a spectrum.

번아웃의 넓이(모든 사람들이 약간씩은 탈진된 느낌)과 깊이(일부는 너무 많이 타서 더 이상 자신의 일을 할 수 없게 됨)의 필요성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우리는 번아웃을 하나의 상태가 아니라 스펙트럼으로 생각해야 한다.

 

📌 처음 문장부터 쉽지 않았다. 넓이깊이라는 용어의 등장과, 상태스펙트럼의 개념의 사용. 두 대조되는 개념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당황했을 수도 있다.

넓이(breadth)깊이(depth)은 괄호 안에 설명에 나와있듯, 넓이는 '번아웃이 모든 사람들에게 조금씩은 적용될 수 있다는 만연성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말'이며 깊이는 '어떤 이들은 그 정도가 심해서 일을 할 수 없는 지경까지 왔음'을 나타낸다. 이 두 개념에 대한 필요성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우리가 해야할 것은 번아웃을 하나의 상태(점, 단절의 개념)이 아닌, 스펙트럼(선, 연속의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번아웃은 연속적이고 선적인 개념이어야 한다. (not A but B 구조만 잡고 내려갔어도 그래도 정답 골라내는데는 괜찮았을 것이다)

 

 

2. In most public discussion of burnout, we talk about workers who “are burned out,” as if that status were black and white.

대부분의 공공 토론에서는 "번아웃된" 노동자들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 상태를 흑백처럼 단순하게 표현한다.

 

3. A black-and-white view cannot account for the variety of burnout experience, though.

그러나 흑백으로 보는 관점은 다양한 번아웃 경험을 설명할 수 없다.

 

4. If there is a clear line between burned out and not, as there is with a lightbulb, then we have no good way to categorize people who say they are burned out but still manage to do their work competently.

만약 번아웃과 비번아웃 사이에 명확한 경계가 존재한다면, 번아웃을 겪고 있다고 말하면서도 여전히 업무를 능숙하게 해내는 사람들을 제대로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 2-4번 문장은 번아웃을 하나의 상태, 즉 점 또는 단절의 개념으로 바라보면 발생하는 한계점 또는 문제점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1번 문장에서 번아웃이 스펙트럼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이유를 지지해주고 있다.

 

 

5. Thinking about burnout as a spectrum solves this problem; those who claim burnout but are not debilitated by it are simply dealing with a partial or less-severe form of it. 

번아웃을 스펙트럼으로 생각하면 이 문제가 해결된다.  번아웃을 주장하지만 그것에 의해 쇠약해지지 않는 사람들은 단지 부분적이거나 덜 심각한 형태의 번아웃을 겪고 있는 것이다.

 

6. They are experiencing burnout without being burned out.

그들은 번아웃을 겪고 있지만 완전히 번아웃된 상태는 아니다.

 

7. Burnout hasn’t had the last word.

번아웃이 마지막 단어를 갖지 않은 것이다.

📌 서론 부분에서 이미 언급되었던 것이 한 번 더 제시되며, 번아웃은 스펙트럼으로 여겨져야 한다고 말한다. 
번아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 중 덜 심각한 상태인 사람도 있다. 즉, 4번 문장에 나온 사람처럼 번아웃을 겪는다고 말하지만 일을 완전히 잘해낼 수 있는 사람도 있다. 이 말을 거꾸로하면 번아웃의 더 심각한 형태도 있을 것이라는 걸 추론 할 수 있다.

 
 
선지 분석
① Public discussion of burnout has not reached an end.
// 대중토론 (public discussion)은 번아웃을 흑백논리로 봄

 
There still exists room for a greater degree of exhaustion.  (정답)
 
All-or-nothing criteria are applicable to burnout symptoms.  
// 이 글에서는 모 아니면 도식의 기준, 즉 흑백논리는 적용되지 말아야한다고 말한다.
 
Exhaustion is overcome in different ways based on its severity.
// 번아웃을 심각성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바라봐야하는 것, 즉 스펙트럼으로 보는 것은 맞지만, '극복된다'까지 가는 것은 비약이다. [매력적 오답]
 
Degrees of exhaustion are shaped by individuals’ perceptions.
// 번아웃의 정도가 개인의 인식에 따라 달라진다, 즉 주관적이라는 말은 언급되지 않았다. [매력적 오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