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공부/영단어 (English Vocabulary)

일상 영어 속에 쓰이는 라틴어 20가지

황경진T 2017. 1. 26. 03:5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영어 강사 황경진입니다.


예전부터 너무 쓰고 싶었던 포스팅입니다! 수 많은 외신 기사들과 논문을 보다보니 상당히 고급져보이는 라틴어들을 종종 발견하게 됩니다. 영어의 모태가 된다고 볼 수 있는 라틴어(Latin)는 모국어로 사용하는 나라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여전히 일상 영어에서 상당히 많이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아래 표는 일상 영어에서 너무나 많이 쓰여 따로 번역이나 생각할 필요도 없이 직관적으로 많이 쓰이는 표현들입니다. 아마 친숙한 표현들도 보일 거에요.


라틴어 

영어 의미 

해석 

 i.e. (=id est)

 that is, namely, in other words

 즉, 다시 말하면 

 etc. (=et cetera)

 and the rest

 기타 등등, 나머지 

 bona fide

 in good faith

 선의의, 진짜의

 alter ego

 other self

 분신, 제2의 자아

 persona non granta

 an unwelcome person

 기피 인물

 vice versa

 position turned

 반대로도 마찬가지로

 carpe diem

 seize the day

 현재를 즐겨라

 cum laude

 with praise, with honor

 우등으로

 alma mater

 nourishing mother

 모교, 출신학교

 quid pro quo  something for something, this for that  답례, 보수


이 밖에도 다른 빈번히 사용되는 20개의 라틴어구들을 함께 알아봅시다!


1. AURIBUS TENEO LUPUM

 

이는 영어의 이디엄 "holding a wolf by the ears", "holding a tiger by the tail"와 같은 의미로, 즉 '곤경에 빠지다', '진퇴양난에 빠지다'의 의미를 가지는 표현입니다. 딜레마(dilemma)라고도 하지요.


2. BARBA TENUS SAPIENTES


barba tenus spientes라고 형용되는 누군가가 있다면 그 사람은 "보기엔 똑똑해 보이지만 사실상 그렇지 않은 사람"을 나타냅니다. 로마인들은 과거에 턱수염(beard)와 지능(intelligence)를 연관시켜 수 많은 어구들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예시] barba non facit philosophum이란 표현이 있는데, 이는 "a beard does not make a philosopher", 즉 '턱수염이 철학자를 만들어내진 않는다'라는 의미입니다.


[예시] barba crescit caput nescit이란 표현은 "the beard grows, but the head doesn't grow wiser", 즉 '턱수염은 자라지만 머리는 현명해지지 않는다'라는 뜻이라고 하네요.


3. BRUTUM FULMEN


 

이 말은 로마의 학자이자 작가인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에 의해 만들어진 말이라고 합니다. 의미는 '해롭지 않거나 공허한 위협(a harmless or empty threat)'으로, 문자 그대로 번역하자면 '무의미한 벼락(senseless thunderbolt)'라고 합니다. 법정에선 이 표현을 '효력 없는 법적 판단(ineffectual legal judgement)'으로 사용 한답니다.


4. CAESAR NON SUPRA GRAMMATICOS

 


이 표현은 "황제는 문법학자들 위에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흥미로운 표현입니다. 

이 표현이 생기게 된 일화가 있습니다. 1414년 콘스탄스 의회 연설에서,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Sigismund)는 우연찮게 라틴어 schisma (영어로 schism: 분열)이란 단어를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허나 이 단어는 중성적인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성적으로 표현 했습니다.  지기스문트 황제는 이에 대해 지적 받자, "나는 왕이니, 이 단어가 중성적인 의미라 할지라도, 이제부터는 여성성을 띤 단어로 선언한다"며 억지를 피웠습니다. 이때 어떤 의회 사람이 일어나 대답하길 "Caesar non supra grammaticos(황제는 문법학자들 위해 존재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했고, 이 인용구는 빠르게 퍼져나가 유명해져 올바른 문법과 철자법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큰 역할을 했답니다.


5. CARPE NOCTEM

 

 

유명한 라틴어구 carpe diem은 누구나 다 아시죠? 이에 대한 '밤 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의미는 똑같습니다. carpe diem이 SEIZE THE DAY의 의미를 갖고 있다면, 이 표현은 SEIZE THE NIGHT의 의미입니다. 이 둘 다 모두 주어진 시간을 최대한 이용하도록 격려하는 표현입니다. 


6. CARTHAGO DELENDA EST


 

고대 로마와 페니키아 식민도시 카르타고가 여러 차례 진행했던 전쟁인 포에니전쟁(Punic Wars, 264-146BC)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이 시기에 로마 정치인 대(大) 카토(Cato the Elder)는 늘 그의 연설 마무리 부분에 "Carthago delenda est"라고 말하며 끝마치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이는 "카르타고는 반드시 파괴되어야 합니다(Carthage must be destroyed)"의 의미였습니다. 그가 한 이 반복적인 언급은 대중적으로 퍼져 고대 로마 시민들을 일깨워주는 모토가 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이 표현은 이와 같이 비유적으로 어떤 아이디어나 일련의 행동에 대하여 절대적인 지지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7. CASTIGAT RIDENDO MORES


 

이 말을 직역하면 "비웃음은 도덕률을 수정한다(Laughing corrects morals)"라고 해석됩니다. 이는 프랑스 시인 쟝 드 상테울(Jean de Santeul, 1630-97)이 만들었던 신조어입니다. 그는 풍자적인 글이 사회 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를 보여주려고 싶어서 이와 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규칙을 바꾸는 최고의 방법은 그 규칙들이 얼마나 터무니 없는 것인지를 지적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믿었습니다.


8. CORVUS OCULUM CORVI NON ERUIT


 

대중적으로 비난을 받고 있는 정치인 동료에 대해 변호를 해 주는 한 정치인을 상상해 봅시다. 이 라틴어 표현의 유래인데요. 직역을 하면 "까마귀는 다른 까마귀의 눈을 빼내지 않을 것이다(A crow will not pull out the eye of another crow)"입니다. 쉽게 이해가 되시죠? 영어 속담인 "도둑에게도 의리가 있다(Honor among thieves)"와 일맥상통 하는데요. 우리나라 말로 하면 "팔은 안으로 굽는다" 정도로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9. CUI BONO?

 


짧고 간결하고 귀여운 발음이 나는 표현이네요. 사실상 귀여운 것과는 좀 거리가 멉니다.

문자 그대로 이 표현은 "누구의 이득 때문에 이런 일을(For whose benefits?)"라는 의미입니다. 경찰이나 법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표현인데요. '범죄에서 가장 많이 이득을 본 자가 아마도 범인일 것이다'라는 것을 암시하는 수사 의문문이라네요. 현재 영어에서는 어떤 이가 무엇을 행하기 전에 그 일에 대한 의미 또는 이점에 대해서 의아할 때 이 질문을 던진다고 합니다. "Cui bono?"


10. ET IN ARCADIA EGO


 

아카디아(Arcadia)라는 곳은 고대 그리스의 시골 지역입니다. 이 곳에는 주로 농부들과 양치기들이 살았습니다. 이들은 조용하고 목가적인 삶을 살았답니다. 이들의 생활 모습은 분주하고 바쁘던 근처 아테네(Athens)와는 상반된 모습을 보여주었죠. 


이 라틴어 표현은 문자 그대로 "심지어 이 곳 아카디아에서도, 나는 존재한다(Even in Arcadia, here I am)"라는 의미입니다. 이 표현 또한 심오한데요. 아카디아는 이상향, 즉 유토피아(utopia)로 볼 수 있으며, "I"는 죽음(death)를 나타냅니다. 천국 같은 곳에서도 죽음은 존재한다라는 의미이죠.


이는 프랑스 바로크 양식 화가 니콜라스 푸생(Nicholas Poussin, 1594-1665)이 그린 작품의 이름입니다. 그림 속에서는 네 명의 아카디아의 양치기들이 어느 마을 사람의 묘비에 방문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왜 제목을 이렇게 붙였는 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뜨거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만, 이 제목은 다른 사람들의 삶을 여러분의 삶과 비교하였을 때 얼마나 좋아 보이든지 간에, 우리는 모두 결국엔 같은 운명, 즉 '죽음'을 맞이하게 될 거라는 것을 푸생은 말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11. EX NIHILO NIHIL FIT


이 라틴어 표현은 로마 철학자 루크레티우스(Lucretius)가 한 말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무에서 유는 발생하지 않는다(Nothing comes from nothing)"이라는 뜻입니다. 즉, 무언가를 성취하려면 반드시 노력이 필요하다는 뜻으로 현대인들에게도 귀감이 될 수 있는 좋은 표현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12. FELIX CULPA


 

이는 본래 성경에 나오는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善惡果)를 먹은 뒤 결과를 지칭하기 위한 종교적인 용어(the Fall of Man)였답니다. 우리 표현으로는 오리지널 신(original sin), 즉 원죄(原罪)라고 하지요.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먹은 뒤 어떻게 됐는지 아시나요? 창세기에 따르면 이들은 에덴이라는 낙원에서 추방 당하고, 남성인 아담은 가정을 위해 일을 해야만 했으며, 여성인 하와에게는 아이를 낳는 고통을, 또한 뱀(마귀)과 여자 사이의 영원한 적대관계가 부과 되었습니다. 또한 이 죄로 인해 대대손손 모든 인간은 불사의 은혜를 잃어버려 죽을 운명에 처하게 되었지요. 하지만 인류가 마냥 죄인으로서 불행한 삶을 산 것만도 아니죠. 오히려 인간을 너무 사랑하신 신께서는 인간들을 구원하기 위해 유일신 야훼의 아들이자 구세주이신 예수를 땅으로 보냅니다. 이 성경적인 부분에 대해서 중세 철학자 토마스 에퀴나스(Thomas Aquinas)는 "신께서는 악으로부터 더 큰 선을 가져다 주시려고 악이 존재하도록 허락하셨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라틴어 표현은 문자 그대로 "행복한 허물(happy fault)"라고 번역됩니다. 누가 봐도 명확한 실수나 재앙이 실제로 결국엔 놀라울 정도로 이득이 되는 결과를 초래했을 때 쓰는 표현이라 볼 수 있어요. 비록 태초의 아담과 하와의 의 죄로 인해 인류 전체가 저주를 받았을 지라도, 나중에 인간을 구원할 자를 만날 수 있다는 기쁜 믿음으로 이러한 말을 쓰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13. HANNIBAL AD PORTAS

 


한니발(Hannibal)은 포에니 전쟁에 참전했던 카르타고 군 지휘관이었습니다. 그는 로마 제국에 대해 수차례의 무자비한 공격을 가했습니다. 그의 공격으로 인해 로마인들에게는 한니발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었다고 해요. 그래서 로마의 자식을 가진 부모님들은 말 안 듣는 아이들에게 겁을 주기 위해 이 표현, "한니발이 문 앞에 왔다(Hannibal is at the gates)"을 사용했답니다. 마치 우리나라 부모님들이 줄곧 하시던 말씀인 "우는 아이에겐 산타할아버지가 선물 안 주실 거야", "도깨비 아저씨가 나타날거야!" 같은 표현과 같다고 보면 좋겠습니다. (요즘 도깨비 아저씨 공유는 너무 멋져서 잡아가라고 하는 아이도 있을 수도 있겠네요.(웃음))


14. HIC MANEBIMUS OPTIME


서기 390년, 갈리아인들이 로마를 침공했을 때, 로마의 원로들은 도시를 버리고 근교 안전한 도시 베이이로 달아날까 토의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로마 역사가 리비(Livy)에 따르면, 마르크스 퓨리우스 카밀리우스라는 백인 대장이 서서 이 원로들에게 "Hic manebimus optime!"라고 외쳤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이 뜻은 "우리는 여기에 남는다. 가장 끝내주게!(Here we will stay, most excellently!)"라는 의미인데요. 상당히 용기있고 상남자스러운 발언이죠? 이 표현이 현재는 역경 속에서도 그 자리에 남아 있겠다는 굳건한 의지를 상징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 이 말을 보면서 영화 타이타닉에서 배가 침몰하고 있을 때도 대피하지 않고, "승객들이 안심할 수 있게 잘들 연주하자고"라고 말하며 끝까지 연주하던 연주단이 문득 떠올랐습니다. 그래서 짤을 그걸로...)

 

15. HOMO SUM HUMANI A ME NIHIL ALIENUM PUTO

 

 

이 표현은 로마의 드라마 작가 테런스(Terence)의 '스스로 고문하는 자(Heauton Timorumenos, The Self-Tormentor)'라는 작품에서 인용된 표현입니다. 작중에서 한 인물이 "네 일이나 신경 쓰셔"라는 말을 듣고나서 이 말을 했다고 하네요. 이 라틴어 표현은 "나는 인간이므로, 어떤 인간적인 것도 나에게는 이상하지 않다네(I am a human being, so nothing human is strange to me)"라고 번역이 됩니다. 현재 이 표현은 자신과 다르게 보이는

사람들과 문화 등등에 대해 존경심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고 하네요.


16. IGNOTUM PER IGNOTIUS


 

이 말은 "더 알 수 없는 것에 의해 알 수 없는 것(the unknown by the more unknown)"이라는 의미로, 한 대상을 설명하려 할 때 그 대상보다 더 어려운 말로 설명함을 일컫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자면, "오븐이 퓨리에 법칙으로 인해 뜨겁게 느껴졌다"라는 말을 누군가 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오븐이 뜨거워진 이유도 도통 모르겠는데,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물리 법칙인 퓨리에 법칙으로 설명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물론 논리적으로는 맞지만, 설명을 위한 상황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보입니다. 이렇게 설명하려는 자들에게 우리는 "Ignotum per ignotius"라고 말하며 비판을 할 수 있는 것이겠지요.


17. IMPERIUM IN IMPERIO


"제국 속의 제국(an empire within an empire)"이란 의미로, 문자 그대로 더 큰 국가 속에 한정 되어 있는 자치국가를 지칭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더 쉽게 말하면, 그 큰 국가로부터 독립하고자 투쟁하는 국가라고 보시면 됩니다. 더 비유적으로 설명하자면, 대기업에 하청을 받고 있는 중소기업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중소기업들도 스스로 일을 하기도 하지만, 대기업의 일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고 있는 상황이죠. 그 중소기업이 홀로 존속할 수 있을 정도로 더욱 더 성장한다면 더 이상 하청을 받지 않아도 될테지만요.


18. PANEM ET CIRCENSES


"빵과 서커스(bread and circuses)"의 의미를 갖는 표현입니다. 이는 빵과 서커스와 같이 기본적인 욕구와 즐거움을 지칭할 때 쓰입니다. 이러한 것들은 인간을 행복하게 해주는 것들이죠. 이 표현은 로마의 풍자 시인 유베날리스(Juvenal, c 60-140)이 쓴 풍자시 모음집(the Satires)에서 사용한 표현입니다.


19. VELOCIUS QUAM ASPARAGI CONQUANTUR


로마인들은 무언가가 재빨리 일어났을 때, velocius quam asparagi conquantur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이 말은 "아스파라거스를 요리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faster than you can cook asparagus)"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20. VOX NIHILI


vox populi는 "사람들의 목소리(the voice of the people)"란 뜻입니다. 11번에서도 nihili라는 표현이 나왔는데 vox nihili는 무슨 뜻일까요? 맞습니다. 이는 문자 그대로 "아무 것도 아닌 존재의 목소리(the voice of nothing)"입니다. 이는 완전히 요점도 없고 의미가 없는 말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그러나 또 다른 의미로도 쓰이기도 하는데요. 스마트폰의 자동 수정기능 아시죠? 아마 만족스럽게 수정된 적이 많지는 않을 거에요. 마치 그 기능처럼 어떤 단어가 다른 단어로 대체될 때 나타나는 철자 실수라든지, 원문 오류라든지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정리


열심히 공부하고 정리해 봤더니 실제로 일상 생활에서 보단 법정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들이 더 많은 것 같네요. 그렇다는 것은.... 일반인들에게는 관심이 없는 대상이고... 이 포스팅은 인기 검색어가 될 확률도 적고..............ㅜㅜ 그래도 라틴어 어원과 관련된 이야기를 정리하면서 저도 상당히 즐겁게 읽었습니다. 미드를 보든, 논문을 보든 뭔가 배운듯한 사람들은 라틴어를 조금씩 섞어 말합니다. 아주 위트있게요. 저는 상당히 멋있어 보였거든요. ㅎㅎ 저 스스로도 많이 공부할 수 있었던 기회였음에 만족합니다. 무엇보다도 저는 이 라틴어 표현을 가장 사랑합니다. 

"Amor vincit omnia" (=Love conquers everything, 사랑은 모든 것을 지배한다)

─제프리 초서 「캔터베리 이야기」 중에서

728x90
반응형

'영어공부 > 영단어 (English Vocabul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RAL / ORAL 뜻 차이점  (0) 2017.01.24
ASSENT / ASCENT 뜻 차이점  (0) 2017.01.23
APPRAISE / APPRISE 뜻 차이점  (0) 2016.10.22
AMORAL / IMMORAL 뜻 차이점  (0) 2016.10.17
ALTAR / ALTER 뜻 차이점  (0) 2016.10.16